공감의 시대 키워드, 사회성과 공감능력
학창 시절 누구나 한 번쯤 인기투표를 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가령 사람들에게 ‘누구와 자주 대화하는가?’, ‘누구와 가장 친한가?’ 등의 질문을 통해 나온 응답에서 많은 사람에게 호감을 얻는다면 그 사람은 높은 사회성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집단 구성원 간 관계를 화살표 방향, 실선이나 점선 등으로 정리한 도표를 심리학에서는 ‘소시오그램(sociogram)’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구성원의 관계를 파악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꼽힌다.
구성원 간 원만한 관계 형성에 꼭 필요한 사회성은 개인의 삶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20세기 경쟁의 시대에서 21세기 공감의 시대로 대전환이 이뤄지고 있는 지금, 공감능력과 사회성은 거의 모든 조직의 성공 가늠자가 되었다. 사회성과 협력 지능이 떨어지는 개인이나 조직은 도태하는 것이다. 사회성은 공감능력을 비롯해 생산적인 대화를 이끄는 대화 기술, 나와 상대의 감정을 잘 이해하고 다루는 감성 지능, 여러 의견과 주장을 조율하는 협업 능력 등의 핵심 인자로 이뤄진다.
협업과 집단지성으로 창조하다
성공적인 팀을 만들려면 여러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는데, 그중에는 팀을 이끄는 리더의 리더십과 지속적인 양질의 교육과 코칭, 체계적인 지원시스템이 포함된다. 여기에 더해 주목받고 있는 것이 사회성과 큰 관련이 있는 협업 능력이다.
오늘날 거의 모든 분야에서 협업이 진행되고 있다. 각기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여러 의견과 주장을 조율하며 모인 집단지성으로 새로움을 창조하는 것이다. 글로벌 상품과 서비스는 거의 다 집단지성의 산물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다. 팀원의 역량이 소통을 통해 연결될 때 위력적인 집단지성이 만들어지고, 그 성과는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한다. 그리고 이런 집단지성, 뛰어난 팀워크는 언제나 팀원 개개인의 높은 사회성을 요구한다. 뛰어난 사회성을 가진 팀원들의 협업이 집단지성으로 비약하는 것이다.
사회성은 주관적인 측정이 아닌 소시오그램 같은 객관적 측정을 통해 더 선명하게 드러나지만, 개인의 설문을 통해서도 어느 정도 측정이 가능하다. 다음은 사회성 수준을 알아볼 수 있는 질문이다.
사회성 지수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
* 다음 질문 중 ‘매우 그렇다’고 느끼는 문항에 체크해보세요.
1. 가족이나 친구, 동료 사이를 부드럽게 만드는 법을 잘 아는가?
2. 직장 외 동호회 모임에 자주 참여하고 있는가
3. 다른 사람의 감정, 희망, 요구를 쉽게 이해하는 편인가
4. 어떻게 하면 다른 사람을 편하게 하는지 잘 아는가
5.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편안한가?
6. 어린아이들을 잘 다루는 편인가?
7. 상담이나 자원봉사와 같은 일을 잘하는 편인가
8. 일할 때 혼자 하는 것보다 함께하는 것을 좋아하는가
9. 사람들 사이에 생긴 문제나 논쟁을 잘 해결하는 편인가?
10. 주변 사람들로부터 공감능력을 인정받는 편인가?